본문 바로가기
스포츠마케팅

스포츠마케터가 하는 일과 필요한 역량은? (3-1편: 스포츠단체 국제업무)

by 강챙이_ 2022. 3. 1.
728x90

오늘은 제가 담당하는 3번 업무인 스포츠단체(협회/연맹/기관/정부) 국제업무 관련해서 얘기해볼게요. 이전 글을 보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고 오면 더 좋을 것 같네요.

2022.02.22 - [분류 전체보기] - 스포츠마케터가 하는 일과 필요한 역량은? (1편)

 

스포츠마케터가 하는 일과 필요한 역량은? (1편)

스포츠마케터라고 N사에 검색하면 바로 뜨는 지식백과입니다. 스포츠마케터가 하는 업무 즉 스포츠마케터란 스포츠 마케팅을 통해서 원하는 무엇인가를 해내는 사람입니다. 스포츠 마케팅에

jakelifensports.tistory.com

 

 

 


2022.02.23 - [분류 전체보기] - 스포츠마케터가 하는 일과 필요한 역량은? (2편)

 

 

스포츠마케터가 하는 일과 필요한 역량은? (2편)

오늘은 제가 담당하는 2번 업무인 스포츠단체(협회/연맹/기관/정부) 대회개최(준비, 운영, 개최, 행사) 관련해서 얘기해볼게요. 이전 글을 보지 못 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고 오면 더

jakelifensports.tistory.com

 

스포츠단체(협회/연맹/기관/정부) 국제업무

지난 2편 글에서는 스포츠마케팅 대행을 하면서 실제로 대회, 행사 개최/운영 등을 했던 상황에 관해 얘기를 했었습니다. 오늘은 스포츠단체(협회/연맹/기관/정부)의 국제업무를 맡는 업무에 관해서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은 스포츠 관련 국제업무라고 하면 제일 먼저 무엇부터 떠오르시나요? 축구 감독 아래 통역사가 떠오르는가요? 국외 선수와 계약을 하는 에이전트가 떠오르나요? 네, 다 맞아요 사실. 국제적인 일이 조금이라도 섞이면 국제업무라고 얘기할 수 있어요. 오늘은 제가 떠오르는 국제업무들을 파트별로 나누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스포츠단체 협회 & 연맹의 국제업무

스포츠 종목단체인 협회와 연맹의 국제업무라고 하면 무엇이 제일 먼저 떠오르시나요? 저는 국제대회 출전 및 개최가 제일 먼저 떠올랐었어요. 사실 저는 스포츠 종목단체 협회 & 연맹에서 일할 때 국제업무 및 훈련지원 업무를 맡았던 적이 있습니다. 나중에 종목단체 관련한 글도 자세히 쓸 예정입니다. 오늘은 국제업무에 포커싱하여 내용을 말씀드릴게요.

협회와 연맹이 하는 주요 국제업무는 다음과 같아요.

1) 국가대표 해외 대회 관련 업무

2) 국내개최 국제대회 관련 업무

3) 연맹 & 협회 소속 선수 훈련(전지훈련, 교류훈련 등) 관련 업무

4) 세계 연맹 & 협회 미팅/이벤트 참석(온오프라인)

5) 서류 검토 및 번역(계약서, 규율집 등)

 

 

1. 국가대표 해외 대회 관련 업무

말 그대로 종목 스포츠단체 연맹 & 협회의 국가대표 또는 주요 선수들의 해외 대회에 출전하고 대회가 끝날 때까지 원활하게 진행하는 업무를 맡는 것을 말합니다. 각 선수가 속한 소속팀, 시도연맹, 대학팀 등에 공문과 알림을 보내어 대회 참가 의사 확인 후 필요 서류들을 취합합니다. 물론 주요 선수들은 연락처가 다 있어 개인적으로 단톡방을 만들어 안내하기도 했고 비교적 손쉽게 정보들을 취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문서를 내보내고 회신을 받아야 하므로 각 기관 문서 회신 상황들을 파악하고 누락된 곳에는 다시 연락하여 받아내야 하므로 상당히 귀찮은 작업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취합을 하게 되면 해외 대회 운영사무국에 출전 선수들의 정보들을 보내고 미리 예약한 비행편 및 숙박정보들을 전달합니다. 초청선수라면 때때로 항공편+숙식까지 제공될 때도 있고 보통은 현지 교통편과 숙식 정도 제공됩니다. 항공편이 제공되지 않을 땐 연맹 & 협회와 파트너를 맺은 여행사 담당자분과 연락하며 시간과 금액을 확인하며 예약을 최종 확정하게 됩니다.

선수들이 코치진들과 잘 도착하면 상황들을 파악하고 현지 상황들을 인지하게 됩니다. 또한, 선수들이 기록을 내었을 때 알기 쉽게 미리미리 정리하고 선수들의 기록지를 전달받아 경기부에 전달하여 정식 기록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선수 및 코치진들이 복귀하면 사용한 카드와 영수증을 연맹 & 협회로 다시 돌려주고 자체지원금인지 체육회보조금인지에 따라 알맞은 정산작업을 하게 됩니다.

위 업무는 스포츠마케팅 대행사가 하기보다는 각 연맹 & 협회 담당자가 다 하는 일입니다. 스포츠마케팅사는 소속 선수들이 해당 연맹 & 협회 소속일 경우 담당자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대회 정보 및 스케줄을 전달받습니다. 그리고 선수들의 인터뷰 어레인지, 대회 결과에 따른 보도자료 작성과 배포 등을 맡게 됩니다.

 

 

 

 

2. 국내개최 국제대회 관련 업무

국내에서 개최되는 국제대회에 관련된 모든 업무를 말합니다. 우선 국제대회가 국내에 개최하기 위해서는 때로는 비딩(bidding)을 통해 따오기도 해야 하며 때로는 신청만 해서 선정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절차가 끝나고 나면 세계 중앙 연맹 & 협회와 소통하며 대회에 필요한 것들을 준비합니다. 브랜딩에 필요한 후원사/파트너들의 로고와 세부적인 정보들을 다 전달하게 됩니다. 세계 연맹 & 협회에서 그래픽 디자인 작업을 하여 자체 중계에 필요한 것들과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들을 전달합니다. 대회 개최하는 연맹 & 협회는 이런 과정을 거치게 되면 이제 정말 실질적으로 대회 현장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스포츠마케팅 대행사가 본격적으로 참가하여 업무를 맡게 됩니다. 국제 연맹 & 협회와 소통하는 것도 저는 연맹 & 협회 대표로 맡아서 업무를 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대회를 준비할 때 스포츠마케팅사에서는 필요한 예산을 책정하고 일할 때 필요한 협력사들과 컨택하여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 계획을 짭니다. 그리고 그 예산을 연맹 & 협회에 청구하여 받게 되는 것이고 해당 대회가 더욱 원활하고 성공적으로 유치될 수 있게 네트워킹 및 제안을 통해 폭넓은 스폰서들을 유치합니다.

 

 


대회에 필요한 물자 하나하나들을 리스트업하고 대회와 각 세부적인 행사 스케줄부터 식사 및 숙박까지 다 기획을 합니다. 이때 물론 협력사들이 마케팅대행사의 요청에 따라 제안서 및 PPT를 예쁘게 꾸며주어 마케팅사의 업무를 원활하게 해주죠. 협력사와 기획사가 하는 모든 업무는 당연히 마케팅대행사가 다 알고 있는 건 사실입니다. 그 업무를 협력사를 통해 레버리징을 하여 또 다른 업무들을 처리하곤 합니다.

이렇게 모든 업무 계획을 연맹 & 협회와 협의를 통하여 진행하고 성공적으로 대회들을 개최하게 되는 거죠. 물론, 끝나고 난 뒤 결과보고서를 제출 또는 발표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글을 마무리하고 다음글에서 나머지 업무들 관련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궁금하신 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주세요.

 

 

 

[취업] CJ 제일제당 스포츠마케팅 테스트 전형 합격

오늘은 CJ 제일제당 스포츠마케팅 서류(자소서) 합격 이후 테스트 전형에 관해 얘기해 보려고 합니다. 사실 테스트 전형이 본사에 가서 삼성전자 GSAT와 같이 봐야 했다면 저는 테스트 전형에 응

jakelifensports.tistory.com

 

 

 

 

 

728x90

댓글